국민행복카드 잔액 조회 및 사용처 사용법에 대해 궁금해 하실 분들이 많으실텐데요.
정부에서 지원하는 국가바우처들을 바우처별로 카드로 이용하지 않고, 한 장의 카드로 통하하여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.
카드신청과 바우처신청은 개별 진행 후 카드에 각 바우처를 등록해주어야 하는데요.
건강보험 임신, 출산 진료비부터 청소년산모 임신 출산 의료비 등 다양한 지원 혜택을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국민행복카드 잔액 조회 사용처 및 사용법
국민행복카드 알아보기
정부에서 지원하는 국가바우처를 한 장의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.
카드사 선택권 확대로 5개 카드사와 18개 금융기관이 참여하였으며, 이용편의 향상으로 한 장의 카드로 17종 바우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출처: https://www.bokjiro.go.kr/ssis-tbu/twataca/BizGdnc/moveTWAT54000M.do
국민행복카드 지원 대상
서비스별 다양한 대상자로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바우처(이용권)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신용카드 각 카드사별 자격심사와 14~19세 이상 자가명의 계좌가 필요하며, 신용/체크카드 발급이 어려운 경우 예외적으로 전용카드 발급이 가능합니다.
★ 국민행복카드 발급과 바우처 서비스 신청을 별개로 이루어집니다.
바우처 서비스별 지원대상
01. 건강보험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
지원대상: 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진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자
02. 청소년산모 임신·출산 의료비 지원
지원대상: 만 18세 이하 산모로 청소년산모 임신·출산 의료비 지원 신청자
03. 사회서비스사업 8종
지원대상: 노인, 장애인, 출산가정 등 사업별 상이
04. 기저귀·조제분유 지원
지원대상: 중위소득 40%(최저생계비 100%) 이하, 저소득층 영아(0~24개월) 가구
05. 에너지바우처 지원
지원대상: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로서 노인, 영유아, 장애인, 임산부, 중증/희귀/중증난치질환자, 한부모가족, 소년소녀가정 (가정위탁보호아동) 포함 가구
06.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
지원대상: 중위소득 120% 이하의 양육공백이 발생하는 가정 (취업한부모, 맞벌이가정, 다자녀 가정 등)
07.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
지원대상: 생계· 의료· 주거· 교육 급여 수급자, 법정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족지원대상자에 해당하는 만11세~만18세 여성청소년
08. 보육료 지원
지원대상: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0~5세
09. 유아학비 지원
지원대상: 국공·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 3~5세
10. 첫만남이용권 지원
지원대상: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지원
국민행복카드 3가지 혜택
- 한 장의 카드로 다양한 바우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 모든 국민행복카드는 연회비가 면제됩니다.
- 카드사별 신용카드/체크카드의 혜택을 그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.
★ 일부 체크카드의 경우 은행별로 발급수수료가 있을 수 있습니다.
바우처 서비스별 지원혜택
01. 건강보험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
지원혜택: 임신 1회당 60만원 이용권(국민행복카드, 고운맘카드) 지원 (다태아 임산부는 100만원 지원)
02. 청소년산모 임신·출산 의료비 지원
지원혜택: 임신 1회 당 120만원 범위 내. 임신부가 산부인과 병·의원에서 임신 및 출산과 관련하여 진료 받은 급여 또는 비급여 의료비
03. 사회서비스사업 8종
지원혜택: 소득분위 및 태아수에 따라 450,000원부터 ~ 최대 1,620,000원 지원
04. 기저귀·조제분유 지원
지원혜택: 기저귀 지원 : 월 64,000원 기저귀+조제분유 지원 : 월 150,000원
05. 에너지바우처 지원
지원혜택:
1인 세대 : 137,200원
2인 세대 : 189,500원
3인 세대 : 258,900원
4인 이상 세대 : 347,000원
06.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
지원혜택:
영아종일제 : 소득유형에 따라 월 36 ~ 91만원 지원
시간제 : 소득유형에 따라 시간당 1,625 ~ 4,875원 지원
07.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
지원혜택: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매비용 연 최대 126,000원 지원
08. 첫만남이용권 지원
지원혜택: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지원
국민행복카드 잔액 조회
국민행복카드 잔액 조회 방법은 3가지 정도가 있습니다.
01. 카드사 콜센터를 확인하는 방법
카드사 콜센터를 통해 국민행복카드 잔액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.
BC카드 및 삼성카드, 롯데카드 연락처는 아래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
- BC카드: 1899-4651
- 삼성카드: 1566-3336
- 롯데카드: 1899-4282
02.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는 방법
국민행복카드 홈페이지를 통해 잔액 조회를 하실 수 있는데요. 바우처 보유 사용과 잔액 순으로 확인이 가능합니다.
국민행복카드 공단홈페이지 접속 후 메인화면에서 바우처 잔액 조회 클릭하여 로그인 후 바우처 잔액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.
03. 카드사 전표 및 SMS 문자로 확인하는 방법
카드 결제 시 발급되는 카드 전표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며, SMS 문자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.
단, SMS 문자는 신청한 대상자만 가능 하오니, 카드사를 통해 SMS 문자 알림을 반드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
국민행복카드 신청방법
국민행복카드로 바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발급 받은 후, 바우처 서비스 신청을 별도로 하여야 합니다.
★ 국민행복카드를 이미 소지한 이용자는 카드발급절차 없이, 곧바로 각 바우처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.
국민행복카드 카드 신청하기
카드사마다 특별한 혜택을 확인하고 자신에게 맞는 국민행복카드를 선택하세요.
01. BC카드
방문신청: IBK 기업은행, NH농협, 대구은행, 부산은행, 경남은행, 우리카드, 우체국, 수협, 전북은행, 제주은행, 광주은행, SC제일은행
02. 롯데카드
방문신청: 롯데카드 전국 영업점 및 롯데 백화점
03. 삼성카드
방문신청: 삼성카드사 전국 영업점 및 신세계,세이 백화점
04. KB국민카드
방문신청: KB국민카드 전국 영업점 및 KB국민은행
05. 신한카드
방문신청: 신한카드 전국 영업점 및 신한은행
국민행복카드 사용처
국민행복카드는 5개의 국가바우처 사업을 하나의 카드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요. 국민행복카드는 각 바우처 사업별로 지정된 기관에서만 사용 가능 합니다.
01. 건강보험 임신·출산 진료비 지원사업
- 산부인과 전문의가 상근하는 요양기관으로 건강보험공단에서 지정한 요양기관
- 13. 4. 1일부터 한방 의료기관도 지정요양기관으로 포함
02. 청소년산모 임신·출산 의료비 지원
- 산부인과 전문의가 상근하는 요양기관으로 건강보험공단에서 지정한 요양기관
- 4. 1일부터 한방 의료기관도 지정요양기관으로 포함
03. 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
-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제16조 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에 따라 등록한 제공기관
04. 기저귀·조제분유 지원
- (오프라인)중소기업청에서 운영하는 나들가게(www.nadle.kr)
- (온라인)우체국쇼핑몰(mall.epost.go.kr)
05. 에너지 바우처 지원
- 지정된 에너지 판매처(전기, 도시가스, 지역난방, 등유, 연탄, LPG 등)